무경운 농업
경운 농업의 문제점
810헥타르에 달하는 농장이 다 타버렸다. 건물, 나무, 32킬로미터 길이의 울타리, 3000마리의 양 등 모든 것이 다 타버렸을 때 콜린 세이스는 문득 깨달음을 얻었다. 세이스는 1970년대에 아버지로부터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에 위치한 할아버지의 농장인 위노나를 물려받았다. 어렸을 때부터 그는 수확량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버지가 새로운 농업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지켜봤지만 비료, 제초제, 쟁기 갈이 등은 농장을 서서히 황폐화시켰다. 토양은 딱딱해져 산성화 되었고, 표층은 10센티미터(보통은 30센티미터 정도가 적당하다)로 줄어들었고, 탄소 함유량은 1.5퍼센트 이하로 측정되었다. 비용은 치솟았고, 더 많은 화학비료가 사용되었으며, 나무는 갈색으로 변했고, 농장은 큰돈을 잃었다. 급기야 1979년, 들불로 인해 3세대에 걸친 농장이 모두 잿더미로 변했다.
화재 때 입은 화상으로부터 거의 회복되던 어느 날, 콜린은 동료 농부인 대릴 클러프와 함께 술집에 갔다. 그들은 각각 농작물을 재배하고 목초지에서 양을 길렀다. 이 두 작업은 모두 따로 떨어진 곳에서 행해졌다. 이쪽에는 풀, 저쪽에는 농작물, 그런데 왜 그래야 하는 걸까? 목초지는 이미 과도방목되었고 농작지는 해마다 경운되었다. 그 바람에 토양은 건조해지고 탈탄소화되었다. 맥주 열 잔을 마신 다음에야 두 사람은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졌다. 왜 일년생과 다년생 작물을 동시에 같은 땅에서 재배할 수 없을까? 농작물 사이의 방목을 통해 땅을 비옥하게 할 수는 없을까?
무경운 농업의 장점
그날 밤 어떤 계시가 찾아왔다. 무경운 농업이라고 알려진 방식의 기초가 될 계시였다. 무경운 농업을 하면 토양은 절대 척박해지지 않는다. 살아 있는 다년생 목초지에 일년생 작물을 심으면 매년 더 건강해지는 생태계가 조성된다. 광업 초본, 균류, 풀, 허브, 박테리아 사이의 복잡한 관계는 생명의 거미줄 같아서 토양 농작물, 풀, 동물의 건강과 탄력성, 생명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농부는 같은 땅에서 곡식과 양모 또는 고기 등 두 가지 산물을 거둬들일 수 있다.
이튿날 아침 술이 깨고 난 다음에도 이것이 여전히 좋은 생각으로 보였다. 세이스는 비료, 제초제, 살충제 사용을 즉시 중단했다. 이미 파산했기 때문에 어려운 결정은 아니었다. 그 후 몇 년간의 과도기가 찾아왔다. 그 땅은 마치 회복 중인 알코올 중독자 같았다. 인산암모늄에 중독되었던 것이다. 처음에는 야초류가 먼저 자라도록 내버려뒀기 때문에 초기에는 수확량이 많지 않았다 다년생 작물은 단백질이 적었기 때문에 초기에는 동물들이 가까이하려 하지 않았다. 이웃들도 무심하게 바라봤다. 그러나 세이스는 계속 이 방식을 고수했다. 그는 방목장에서 윤환방목을 시작했다. 그러자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수익과 생산성, 동물과 토양의 건강 등 모든 것이 되돌아왔다. 누가 봐도 농장이 되살아난 게 분명했다. 비용도 감소했다. 연료와 화학비료를 더 이상 투입할 필요도 없었고, 이로 인해 세이스는 연간 6만 달러를 절감했다. 물 보유량과 토양 탄소도 3배 증가했다. 해충도 사실상 사라졌다. 양 목축으로 얻은 수익은 수확량, 양털의 질과 함께 증가했다. 새와 토착 동물이 되돌아왔다.
무경운 농업은 현재 호주의 2000개 이상의 농장에서 행해지며 온대 농업계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세계가 일년생 작물에 의존하게 되었다. 농업학교나 기업형 농장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지만, 비옥도와 토양 탄소를 회복하려면 어느 시점에서는 농업이 지속 가능하고 재생 가능한 방법으로 바뀌어야 한다. 무경운 농업은 이모작으로 토지이용을 증가하는 동시에 온실효과 영향을 줄이고 탄소 격리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뛰어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