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목간작의 목적
농사를 짓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산업형 농업은 넓은 땅에 한 가지 작물을 심는다. 수목간작과 같은 재생농업은 다양성을 활용해 토양 건강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물학적 원리와 조화를 이룬다. 낮은 투입량, 더 건강한 작물, 더 높은 수확량이 그 결과물이다. 지구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해 수목간작을 수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산업화 이후 20세기에 농업은 유럽에서 거의 쇠퇴했지만, 농부들은 수목간작이 효과가 좋기 때문에 이를 실천한다. 모든 재생적 토지이용 방식과 마찬가지로, 수목간작은 토양의 탄소 함량과 토지의 생산성을 높인다. 간작은 침식을 줄이고 새와 익충의 서식지가 되어줄 바람막이를 제공한다. 빠르게 성장하는 일년생 식물은 바람과 비에 주저앉을 수 있는데, 간작은 이를 막아준다. 심근성 식물은 천근성 식물을 위해 심토 미네랄과 영양분을 퍼올릴 수 있다. 덩굴식물을 위한 격자 구조물이 되어주기도 한다. 빛에 민감한 작물을 과도한 햇빛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수목간작은 아름답다. 고추와 커피, 코코넛과 천수국, 호두와 옥수수, 감귤과 가지, 올리브와 보리, 차와 토란, 참나무와 라벤더, 야생체리와 해바라기, 개암나무와 장미 등을 함께 볼 수 있다. 열대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삼모작으로는 코코넛, 바나나, 생강 등이 함께 자란다. 만들 수 있는 조합은 끝없이 다양하다.
수목간작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
수목간작에 성공하기 위해 토지 소유자는 토지, 토양 유형 및 주어진 기후조건을 세심하게 평가하고 잘 파악해야 한다. 햇빛, 영양소, 흐름, 물의 가용성은 나무와 농작물의 종과 밀도, 공간의 중첩을 결정한다. 프랑스의 아르덴 지역을 운전하다 보면, 밀 사이로 간작된 미루나무들을 볼 수 있다. 별생각 없이 나무들을 줄지어 심은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다년간의 지식을 통해 바람과 빛, 계절적 변화, 영양 경쟁의 영향을 평가한 것이다. 그런 다음 식물의 구성과 종류를 결정한다. 아르덴 지역에서는 미루나무가 선정된 것이다. 나무와 농작물의 배치는 지형, 문화, 기후, 농작물 가치에 따라 다양하다.
수목간작의 여러 변형
수목간작에는 여러 변형이 있다. 관목 간작이란 나무나 생울타리를 촘촘한 간격으로 심고 그 사이에서 자란 농작물에 비료를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작은 나무나 생울타리는 세스바니아, 글리리시디아, 겨울가시아카시아와 같은 질소고정 콩과식물이다. 말라위에서 10년 동안 시행된 실험에서 옥수수를 글리리시디아 나무와 함께 관목 간작하고, 나무 없는 밭에서 비료 없이 자란 옥수수와 수확량을 비교했다. 관목 간작을 시행한 밭에는 매년 질소가 함유된 글리리시디아 가지를 토양에 뿌렸다. 그 결과 관목 간작한 옥수수는 비료 없이 자란 옥수수보다 수확량이 3배나 더 많았다. 말라위의 빈곤한 소작농들은 식량 부족으로 인해 옥수수 농사를 잇달아 지었고, 그 결과 토양은 황폐화되고 식량 안보는 더 악화되었다. 비록 관목 간작으로 토지를 나무에 내주었지만, 화학비료 없이 일궈낸 수확량은 손실을 보상하고도 남을 정도였다.
수목간작의 또 다른 유형인 대정원 시스템은 겨울가시아카시아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흩어진 나무의 피복을 활용하는 것으로, 이는 가축들의 사료가 된다. 이들 식물은 가뭄이나 바람, 침식 등에 취약한 땅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민들의 생태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심겼다. 장마철에 나무들은 질소가 풍부한 잎을 벗어던진다. 이는 옥수수와 다른 농작물들이 물이나 햇빛을 얻기 위해 경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확량은 화학비료나 다른 투입물 없이 3배 증가했다.
그밖에 대상 재배, 경계지 시스템, 그늘 시스템, 임업, 산림텃밭, 버섯 조림, 임간 축산, 무경운 농업 등이 있다. 수목간작은 인간의 안녕이 살아 있는 유기체에 적대적이거나 이를 착취하는 농업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강화시킨다. 그것은 오히려 토양, 비옥도, 서식지, 다양성, 수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계속 증가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는 농사 방법을 발견하고 혁신하고 실천하는 것에 달려 있다.
수목간작의 효과
지역 및 간작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는 격리 비율을 고려할 때, 30년에 걸쳐 17.2기가톤의 이산화탄소를 격리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영향을 얻기 위해서는 수목간작을 전 세계적으로 2억3100만 헥타르까지 확대해야 한다. 147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면 30년 동안 220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대 주곡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효과 (0) | 2021.08.14 |
---|---|
퇴비화 시스템의 특성과 효과 (0) | 2021.08.13 |
재생농업 시스템의 원칙과 필요성 (0) | 2021.08.11 |
임간축산의 형태와 장점 그리고 사회적 편견 (0) | 2021.08.10 |
다층 혼농임업의 기원과 효과 (0) | 2021.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