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비화 시스템의 탄생 과정
유기물은 중요하다. 영국의 농학자이자 열성적으로 퇴비화에 대해 예언했던 앨버트 하워드 경은 이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었다. 20세기 초 영국과 인도에서 실험을 진행하면서, 하원드는 건강하고 살아 잇는 토양이 작물의 번식력과 회복력의 핵심이라는 증거를 자신이 기르던 식물을 통해 발견했다. 거미줄처럼 얽힌 상호작용의 비밀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그는 유기물과 토양 비옥도, 식물의 건강이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를 위해 대규모 퇴비화 계획을 설계하고, 해답을 찾기 위해 뿌리 구조를 조사했다. 아마 하워드는 퇴비가 식물의 뿌리와 토양의 뿌리균 사이의 관계를 강화했다고 생각한 듯하다. 그는 평생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화학비료를 사용하자는 주장을 펴는 기존 사고와 싸우기 위해 애썼다. 당시는 하버법의 시대로, 독일에서 값싼 질소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그 여파로 유기물이 있는 퇴비와 덧거름은 구식인 데다 비경제적인 방법으로 취급되었다.
이 새로운 비료 제조 공정은 전 세계의 주목을 끌었다. 프리츠 하버와 카를보시는 각각 노벨상을 받았다. 하지만 하워드는 무언가를 발견했다. 인류는 오랫동안 퇴비와 거름이 주는 효과의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 채 농작물과 텃밭에 이들을 사용했다. 라틴어 문헌 중 가장 오래된 산문으로 대 카토가 지은 <농업에 관하여>에는 농부에게 반드시 필요한 퇴비 사용 지침이 언급되어 있다. 셰익스피어 역시 이 검은색 금의 진짜 힘을 알고 있었다. 햄릿은 은유적으로 잡초에 비료를 뿌리지 말라고 충고한다. 네덜란드 과학자 안톤판 레이우엔훅은 1670년대에 프로토타입 현미경을 통해 소위 물벌레를 처음 발견했지만, 우리 사회는 이제야 토양 생태학의 중심에 있는 미생물의 힘을 이해하게 되었다.
퇴비화 시스템의 특성
모든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인간은 쓰레기를 만들어내지만, 이 쓰레기에는 독특한 문제점이 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고체 쓰레기의 거의 절반은 유기물 또는 생분해성 쓰레기이며, 이는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분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쓰레기 순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뿐 아니라 마당과 공원에 흩뿌려진 채 나뒹구는 나뭇잎도 있다. 수천 년 동안 이 쓰레기들은 자연의 경제 안에서 순환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이 많은 유기물 쓰레기는 결국 쓰레기 매립지에서 끝을 맺는다. 이 쓰레기는 산소가 없이도 부패하고, 100년이 넘도록 이산화탄소보다 최대 34배나 더 강력한 메탄 온실가스를 생산한다.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의 4분의 1은 메탄가스 때문일지도 모른다. 많은 쓰레기 매립지에서 어떤 형태로든 메탄을 관리하고 있는데, 퇴비화를 위해 유기 폐기물을 전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으며, 배출량을 극적으로 줄이고 미생물의 작용을 촉진할 수 있다. 퇴비화 과정은 적절한 기폭을 통해 메탄 배출물을 피한다. 기폭이 없다면 퇴비화의 배출 효과는 줄어든다.
퇴비화 시스템의 적용 범위
퇴비화는 뒷마당 쓰레기통부터 상업적 운영까지 적용 범위가 넓다. 규모에 상관없이 기본 원리는 같다. 즉 충분한 수분과 공기, 열을 투입하여 미생물이 유기물질을 분해할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박테리아와 원생생물, 균류는 탄소가 풍부한 유기물을 먹어치운다. 이는 모든 생태계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분해 과정이다. 토양 자체에는 여러 지형에 따라 듬성듬성 퇴비 더미가 존재한다. 퇴비화 과정은 매립지의 분해가 그렇듯이 메탄을 발생시키기보다는 실제로 유기물을 안정된 토양 탄소로 변환시켜 식물이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퇴비는 원래 폐기물의 물과 영양분을 유지하는 매우 귀중한 비료로, 토양 탄소 격리를 돕는다. 쓰레기가 보물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퇴비화 시스템의 효과
2015년 미국에서 약 38퍼센트의, 유럽연합에서는 57퍼센트의 음식물 쓰레기가 퇴비화되었다. 모든 저소득 국가가 미국의 수치에 도달하고 모든 고소득 국가가 유럽연합의 수치를 달성한다고 가정하면, 퇴비화는 2050년까지 2.3기가톤의 이산화탄소에 상당하는 매립지의 메탄 배출을 피할 수 있다. 이 총계는 토양에 퇴비를 줌으로써 얻는 추가 이득은 포함하지 않는다. 퇴비화 구축에는 비용이 적게 들지만 운영에는 더 큰 비용이 소요되며, 이는 재정적 결과에 반영된다.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형 방목 시스템의 이점과 영향 (0) | 2021.08.15 |
---|---|
열대 주곡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효과 (0) | 2021.08.14 |
수목간작 시스템의 목적과 조건 (0) | 2021.08.12 |
재생농업 시스템의 원칙과 필요성 (0) | 2021.08.11 |
임간축산의 형태와 장점 그리고 사회적 편견 (0) | 2021.08.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