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의 특성
1964년 일본은 올림픽을 기념하여 500킬로미터 떨어진 오사카-도쿄를 잇는 세계 최초의 고속 탄환 열차를 개통했다. 이 열차는 오늘날 하루 40만 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바쁜 고속철도 노선이다. 국제철도연맹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3만 킬로미터 이상의 고속 철로가 있다고 한다. 현재 건설 중인 철도까지 완성되면 그 길이는 50퍼센트 증가할 것이며, 이외에도 수천 킬로미터 이상을 달릴 철도가 건설 계획 중에 있다. 중국은 가장 긴 초고속 철로를 가지고 있고, 서유럽과 일본이 그 뒤를 따른다. 중국, 일본, 한국은 초고속 철도를 변주한 자기부상열차를 도입했다. 원리는 자석을 이용하여 지지 구조물에서 열차를 살짝 들어 올리는 것이다. 따라서 매우 부드럽게 달리며 소음도 없다. 이 열차는 시속 약 430킬로미터의 속도를 자랑하며 상하이와 멀리 떨어진 공항을 한 번에 연결한다.
고속철도는 디젤을 사용하지 않고 거의 전기로만 구동된다. 이는 수백킬로미터 떨어진 두 지점을 연결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며, 일반 차량이나 비행기와 비교했을 때 탄소 배출량을 최대 90퍼센트까지 줄일 수 있다. 고속철도의 시장 이점은 7시간 이하의 이동 시간에 있다. 기차역은 도시와 주요 교외지역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므로 현재로서는 안전 문제를 우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새 열차는 편안한 객실과 멋진 외관을 갖추고 있으며 인터넷 접근성도 완벽하다. 고속철도의 장기적인 성공은 중거리의 고밀도 노선에 달려 있다. 서유럽과 아시아의 일부 인기 있는 시장의 경우, 고속열차가 이 노선들로 전체 여행 사업의 절반 이상을 점유했다. 고속철도는 사실상 런던-파리, 파리-리온, 마드리드-바르셀로나 노선을 독점하고 있다. 2013년 고속열차는 3540억 여객킬로미터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 세계 철도 시장 수송량의 약 12퍼센트를 점유한다.
고속철도 비용적 문제
미국은 메사추세츠주와 로드아일랜드주의 전원지역에 총 45킬로미터에 달하는 고속철로를 자랑한다. 암트랙의 아셀라 서비스가 제공하는 노선이다. 고속철도에 대한 열정이 아마도 미국에서 가장 높은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유권자들은 첨단 시스템 설치 착수금으로 100억 달러를 승인했다.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시스템이 완성될 경우 자동차 이용을 연간 약 58억 킬로미터 줄일 수 있는데, 이는 도로를 다니는 자동차를 매일 30만 대 줄여 220만 톤의 온실가스를 없애는 것과 같은 효과이다. 그러나 진전은 더디고 장애물도 존재한다. 2028년에 완공이 계획되어 있지만 아무도 계획대로 완공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는데, 예상 비용이 330억 달러에서 980억 달러로 3배나 증가했기 때문이다.
가장 큰 장애물이 바로 이 비용이다. 새 역을 건설하는 것도 그렇지만 기차 자체도 비싸다. 튼튼한 철로는 킬로미터당 94만~500만 달러에 이른다. 그 외에도 다리, 터널, 고가교 등이 있다. 암트랙은 북동부 회랑에 시속 354킬로미터의 고속철도 시스템을 만드는 데 1500억 달러가 들 것으로 추산한다. 시속 257킬로미터의 속도 시스템이라도 약간밖에 더 절감할 수 없다. 비용 측면에서 정부 보조금과 소비세가 필요한데, 고속철도 반대론자들은 보조금이 든다는 이유로 고속철도가 비경제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고속철도가 건설되지 않더라도 모든 교통 시스템은 상당한 규모의 정부 보조금을 받기 때문에 이 경제비용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새로운 고속도로, 낡은 고속도로에 도입할 새로운 차선, 공항 확장, 교통 정체, 시간 낭비, 늘어나는 온실가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당사자는 민간 기업이 아닌 일반 대중이다. 고속철도 프로젝트에서 제외되는 공공 비용은 교통 시스템의 자본 비용에서 공제되어야 한다.
고속철도 찬성론자들은 고속 열차가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종식시키고 오염물질 배출을 엄청나게 줄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비현실적인 기대이다. 고속철도는 손익분기점을 맞추려면 높은 여객킬로미터를 필요로 한다. 고속철도를 지속할 수 있을 법한 충분한 인구밀도를 가진 곳은 세계적으로 몇몇 지역밖에 되지 않는다. 운영 중인 고속철도의 탄소발자국은 비행기나 자동차보다 낮지만, 상당한 항공 및 차량 여행 거리를 대체해야만 그 효과가 유의미하다.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고속철도를 건설하는 데도 상당한 온실 가스가 방출된다는 것이다. 특히 고속으로 이동하는 열차를 지지할 만큼 튼튼한 철로를 건설하는 데 많은 양의 시멘트가 필요하다.
고속철도의 환경적 이점
고속철도가 확대되었을 때의 경제적, 환경적 이점이 있다. 여행자들이 재래식 철도에서 고속철도로 옮겨감에 따라 철도 화물 운송에 더 많은 철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젤 트럭으로 물품을 운송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경제성장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장점으로는 자동차와 비행기와 달리 고속 열차로 여행하기가 비교적 더 쉽고 편하며, 더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여행 접근성이 생긴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추가 편익을 정량화하고 기존의 편익 비용비 분석에 포함 시키기는 어렵지만, 추가 연구를 통해 고속철도에 유리한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고속철도가 인프라 개발을 위한 최적의 선택이 된다.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자전거의 에너지 효율 (0) | 2021.08.27 |
---|---|
전기자동차가 시작과 환경에 주는 이점 (0) | 2021.08.26 |
대중교통 이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0) | 2021.08.24 |
선주민 공동체의 환경적 문화와 기여 (0) | 2021.08.23 |
연안습지의 특성과 장점 그리고 효과 (0) | 2021.08.21 |
댓글